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국제화

유니코드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6)


소프트웨어 국제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니코드에 대해서 필수적으로 잘 알아야 한다. 유니코드란 말을 들어보지 않은 개발자는 없지만 관련 용어가 매우 많아서 종종 헷갈린다.  게다가 유니코드가 탄생한지 20년도 더 넘었지만 아직도 세상은 유니코드로 통일이 되지 못하고 수많은 문자세트가 넘쳐나고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다보면 수시로 문자가 깨지고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유니코드를 비롯해서 문자세트와 인코딩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볼 기회를 가지려고 한다. 


먼저, 유니코드는 언제, 왜 탄생했는지 그 역사를 간략하게 알아보자. 필자는 유니코드 탄생 이전부터 개발을 했기 때문에 그 역사를 보아 왔다고 할 수 있다. 유니코드의 역사를 알아보기 위해서 그 이전의 문자세트, 문자인코딩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보자. 


유니코드를 설명하려면 문자세트 문자인코딩이라는 용어를 구분해야 한다. 흔히 헷갈려 하는 용어다. 문자세트는 그야말로 문자들의 집합이다. 문자들의 집합에 각 문자에 번호를 부여한 것이다. 문자인코딩은 그런 문자들을 어떻게 코드를 할당하느냐를 나타낸 것이다. 문자세트를 특별한 변화 없이 그대로 1:1로 나타내는 문자인코딩도 있고, 별도의 규칙에 의해 변경해서 표기하는 문자인코딩도 있다. KSC5601은 문자세트고 이를 영문자와 합쳐서 그대로 인코딩 한것은 EUC-KR이다. 앞으로 문자세트와 인코딩을 마구 섞어서 사용할 것인데 혼동하지는 말자.


1950년대 최초로 컴퓨터가 탄생하고 초창기 컴퓨터에는 표준 문자세트이라는 것이 없었다. 즉, 컴퓨터마다 다른 문자세트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래서 1967년 미국에서 표준 문자세트를 제정한 것이 ASCII다. 미국에서 만들었기 때문에 알파벳과 숫자 등의 글자로 이루어졌다.

 

ASCII는 7비트 128글자를 사용하며 거의 모든 문자세트의 기본이 된다. 하지만 ASCII는 유럽글자를 표현 할 수 없었다. 그래서 유럽 사람들은 1980년대 중반 ASCII를 확장하여 ISO-8859를 만들게 된다. ISO-8859의 특징은 기존 ASCII 영역을 건들지 않고 8비트 128글자 영역을 사용하여 미국에서 작성한 문서도 그대로 볼 수 있게 하였다.


ISO-8859-1은 네델란드어, 노르웨이어, 독일어 등 주로 서유럽의 언어를 지원한다.

ISO-8859-2은 체코어, 폴란드어, 헝가리어 등 주로 중앙유럽의 언어를 지원한다.

ISO-8859-3은 터키어 등 주로 남유럽의 언어를 지원한다. 이런 식으로 ISO-8859-16까지 추가되었는데 암기할 필요는 없다. ISO-8859를 사용해도 여러 유럽어를 동시에 표현할 수는 없었다.


그 무렵 아시아에서는 문자세트 혼란의 시기가 도래하였다.


한국에서는 1980년대 초부터 여러 가지 한글 조합형 인코딩을 사용했다. 1987년 KSC5601(KSX1001)이라는 한글(한국어) 완성형 문자세트가 제정된 후 조합형과 완성형은 공존을 하다 조합형은 사라지게 된다. 조합형과 완성형의 팽팽한 균형이 무너진 시점은 윈도우95가 나오면서부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당시 똠방박하의 "똠"자를 윈도우에서 쓸 수 없다는 것은 많은 이슈가 되었다.



중국과 일본도 제 각각의 문자세트와 인코딩을 정의해서 전세계, 특히 아시아는 문자세트 춘추 전국시대가 되었다. 한나라 안에서도 수많은 문자세트와 인코딩이 넘쳐나고 있었다. 이는 전세계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는 의미를 얘기한다. 알파벳과 숫자를 제외하고는 깨져버리기 일쑤였다.


하나의 인코딩으로 영어와 한국어는 표시할 수 있고, 영어와 일본어도 표현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영어,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이렇게 다양한 언어를 한꺼번에 표현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ISO2022다. 중간에 특수한 문자를 만나면 문자세트가 바뀌는 것이다. ISO2022 인코딩의 문자열은 중간부터 읽을 경우 무슨 문자인지 알 수 없는 약점이 있었다.


80, 90년대 이런 춘추전국 시대에 개발을 해본 개발자라면 이런 혼란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근래에 개발을 시작한 개발자들에게는 먼 옛날 얘기일 것이다.


그 당시에는 대부분의 소프트웨어가 나라별 버전을 따로 만들곤 했다.


이러한 혼동 속에서 하나의 문자세트로 전세계 문자를 모두 표현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썬마이크로시스템즈, 애플, MS, IBM, 볼랜드 등의 회사들이 유니코드컨소시엄을 만들어서 전세계 문자를 통합한 유니코드(Unicode)를 만들기 시작했다. 참여한 회사들을 보면 거의 미국 회사인 것을 알 수 있다. 미국 회사들이 전세계에 소프트웨어를 팔다보니 본인들이 힘들어서 통합의 필요성을 느낀 것이다. 그렇게 미국이 주도하여 1991년 유니코드 1.0이 탄생한다. 



(유니코드에 포함된 나라별로 다른 문자들)


이렇게 제정된 유니코드의 문자세트는 UCS-2(Universal Character Set 2)라고 불린다. UCS-2를 가지고는 고어를 포함한 전세계 모든 문자를 표현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사실 중국어만 해도 10만 글자가 넘는다. 그래서 UCS-4에는 고대 언어를 포함한 모든 언어가 포함된다. 하지만 우리는 대부분 UCS-2를 사용하며 유니코드라고 말하면 UCS-2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단, Unix계열의 OS에서는 4바이트 문자세트인 UCS-4를 기본으로 사용한다.



향후 소개될 소프트웨어 국제화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자세트, 인코딩 그리고 유니코드에 대해서 잘 알아야 한다. 그래서 본 글에서 간략히 소개를 했다. 다음에는 유니코드의 내부를 좀 살펴보고 인코딩 등 유니코드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자.


이글은 네이버포스트에 게재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