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 썸네일형 리스트형 7명이 할 수 있는 일을 70명이 하고 있는 이유 최근에 한 글로벌 소프트웨어 회사(Y사, 가칭)의 한국 지사 관계자에게 들은 이야기이다.비단 Y사 얘기만은 아니다.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회사의 한국지사에서 종종 벌이지는 일이다. Y사의 본사에서는 처음에 한국지사를 만들었을 때 한국에서도 미국의 개발 프로세스를 따를 것을 종용했다고 한다. 하지만 한국에서 채용된 개발자들은 미국의 개발 프로세스는 너무 무겁다고 한국 방식으로 개발했다고 주장을 했다. 그리고는 미국의 개발 주문에 대해서 믿을 수 없는 속도로 해결을 해나가기 시작했고, 미국 본사는 이런 경이로운 결과를 보고는 한국식 개발을 묵인할 수 밖에 없었다. 그뒤 몇 년이 지난 지금은 어떻게 되었을까? 미국 본사의 개발 프로세스를 착실히 따른 호주 지사와 엄청난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똑같은 일을 .. 더보기 개발자의 취향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합리적인 결정보다는 개발자의 취향대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Architecture상의 심각한 문제점을 내포하게 된다. 제대로된 분석과 설계를 통해서 Architecture가 결정되어야 하는데 개발자 취향에 맞는 개발언어를 선택하고 검증이 안된 기술을 선택하면 그 Risk는 고스란히 프로젝트가 떠안아야 한다. Architecture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소는 개발자의 취향이 아니다. 회사의 미래 비즈니스 전략을 고려해야 하고, 현재 개발자들의 구성과 역량, 제품의 성격과 로드맵이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이러한 전략없이 특정기술을 맹신하거나 거부하기도 하고 무조건 새로운 기술을 채용하기도 한다.그러다보면 각 제품마다 중구난방으로 여러 기술이 쓰이고, 유지보수에.. 더보기 한 SI회사의 프로세스에 대한 오해 필자는 업계의 여러 사람과 얘기할 기회가 많다. 최근에 한 대형 SI회사의 한 PM과 얘기를 한 적이 있는데 프로세스 상의 큰 문제가 있었고, 실제 프로젝트팀에서는 잘못된 프로세스로 인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SI회사의 오랜 바람 중의 하나가 "공정분리"이다. 즉, 분석/설계/구현을 분리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다."공정분리"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분석/설계/구현이 뒤엉켜서 개발을 진행한다. "공정분리"는 분석을 잘해서 설계자에게 넘겨주면, 설계자는 설계를 잘해서 개발자에게 넘겨주고 개발자들은 설계서 그대로 코딩만 하면 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최근 해외 프로젝트가 증가하면서 분석/설계/구현을 뒤엉켜서 진행할 경우 코딩하는 개발자까지 해외 파견을 해야 한다. 그래서 공정분리는 점점 필수가 되었다... 더보기 도대체 얼마나 자세히 적어 달라고?!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게 문서 작성은 고역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래서 문서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후에 후배들에게 소프트웨어에의 스펙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작성하곤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문서의 효용성도 별로 없을 뿐더러 문서가 제대로 작성되었는지 알기도 어렵습니다. 또 개발자들은 기억을 더듬어서 문서를 작성하기도 어려울 뿐더러 이러한 작업은 하기 싫은 고역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문서의 대부분은 개발한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서 만드는 것이 아니고,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내용을 앞 단계에서 작성하는 것입니다. 즉, 설계를 하기 전에 스펙을 작성하고 구현을 하기 전에 설계서를 작성하고 테스트를 하기 전에 테스트 계획 및 TCL(Test Case List)를.. 더보기 과거의 개발자 vs. 미래의 개발자 개발자는 2가지의 상반된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는 과거의 가치 또 하나는 미래의 가치입니다. "이 사람들 나가면 과거에 개발해 놓은 것 어떡하지?"라는 생각이 들면 과거의 가치를 가진 개발자이고 "이 사람들 나가면 미래에 개발은 누가 하지?"라는 생각이 들면 미래의 가치를 가진 개발자입니다. 과거의 가치를 가진 개발자들은 본인이 아니면 유지보수가 어렵게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놓았고, 대부분의 지식은 머리 속에 있기 때문에 자신이 과거에 만들어 놓은 소프트웨어를 인질 삼아서 회사와 인질극을 벌이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이렇게 된 원인이 상당부분 회사에 있다고 하더라도, 개발자의 가치는 인질범과 별반 다를 바가 없습니다. 기존 소프트웨어를 망칠까봐 대우해줄 수 밖에 없습니다. 미래의 가치를 가진 개발자.. 더보기 UML전문가가 설계전문가? 종종 "소프트웨어 설계를 잘 하려면 UML을 잘 알아야 합니까?"라는 질문을 받습니다. 사실 넘치는 기법들이 개발자들을 더 혼란스럽게 하는 것에 종종 화가 날 때가 있습니다. 기법은 기법일 뿐입니다. 내용은 아니죠. UML은 잘 정리된 모델링, 설계 기법이며 툴이고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프트웨어 설계라고 하고 UML을 떠올리는 것을 보면 UML이 본의 아니게 나쁜 일도 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잘 된 설계는 형식에 구애 받지 않고, 소프트웨어를 구현하기 충분하게 소프트웨어 구조를 잘 설명한 것입니다. UML이 그 중의 하나가 될 수도 있고, 전통적인 Flowchart, DFD, 수도코드나 글로 설명할 수도 있습니다. 설계는 어떠한 다이어그램을 그리고 어떤 툴을 쓰냐에 .. 더보기 이 정도도 안되면서 Peer Review를 한다고요? 소프트웨어 개발의 기초도 되어 있지 않으면서 무리하게 Peer Review를 시도하다가 실패하기 십상입니다. 개발의 체계도 전혀 없이 코딩위주로 개발을 하고 있다면 Peer Review할 것도 별로 없거니와 Peer Review를 통해서 공유의 문제와 품질을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착각하는데, 이는 Peer Review를 너무 만만하게 보는 것입니다. 피아노 기초도 안되어 있으면서 쇼팽을 치려는 것과 같고, 기초 체력도 부족하면서 축구의 고급 기술은 배워서 무엇 하겠습니까? 그래서 히딩크가 강조한 것이 기초체력이지요. Peer Review를 정상적으로 진행하려면 최소한 소스코드관리시스템과 버그관리시스템은 제대로 사용하고 있어야 하며, 스펙과 설계문서를 제대로 만들어야 하며, 코딩 컨벤션을 따라서 개발을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