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인기없는 10년차 개발자 우리나라에서는 나이 많은 개발자가 별로 인기가 없다. 10년~20년차 개발자들은 그들을 찾아주는 회사가 그렇게 많지 않아서 이직이나 진로에 대해서 항상 고민이 아닐 수 없다. 아직 경험이 적은 개발자들이 불만도 적고, 시키면 시키는대로 일하고, 매일 야근을 해도 버틸 수 있는 체력이 남아 있고, 돌봐야 할 가정을 아직 꾸리지 않은 개발자들이 인기가 많다. 이 개발자들도 곧 체력이 바닥나겠지만, 아직 남아 있는 체력을 쥐어짤 것은 남아 있다. 필자는 개발자가 제대로 아키텍트가 되고 제대로 실력을 발휘하려면 10년 이상은 개발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기술도 두루 셥렵하고 소프트웨어 공학에 대한 경험도 꽤 쌓고, 비즈니스와 경영도 이해하게 된다. 이렇게 제대로 성장한 10년차 개발자라면 일반 프로그래.. 더보기
성숙한 개발문화 정착이 어려운 이유 우리나라가 소프트웨어 개발을 잘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 중에서 가장 먼저 성숙한 개발문화를 꼽는다. 그런데 간단해 보이는 것 하나도 정착하기가 보통 어려운 것이 아니다. 도대체, 개발문화가 왜 그렇게 정착하기 어려운지 그 이유를 생각해보자. 첫째, 문화란 혼자 바뀐다고 전체가 따라서 바뀌는 것이 아니다. 문화란 집단의 공통된 행동 양식인데, 혼자서 전체를 바꾸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서로 이익이 된다면 자연스럽게 바뀌어 나가겠지만 대부분의 성숙한 개발 문화라는 것이 다같이 따를 때는 모두에게 이익을 가져다 주지만 혼자 제대로 하면 혼자 손해를 보기 마련이다. 정보를 공유하자고 해서 혼자 열심히 공유를 하고 다른 사람은 꼼짝을 안하면 혼자서 손해를 보는 것이다. 따라서 모두에게 이익이 되며 현재 수준에서 .. 더보기
공짜 점심이 개발자를 행복하게 할까? 이글은 제가 씨넷코리아에 게재한 칼럼입니다. 새로 시작하는 씨넷코리아에 많은 관심 바랍니다. 최근에 국내 유수의 소프트웨어 회사들의 구조조정 회오리를 보면 착찹한 생각이 든다. 척박한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참신한 개발문화를 도입하고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려고 했던 회사들이어서 더욱 안타깝다. 필자는 이런 현상의 결과와 겉모습만 말고 다른 시각에서 좀 더 근본적인 원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3D 취급을 받고 있는 국내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잘나가는 실리콘밸리의 소프트웨어 회사들과 높은 연봉을 받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부럽지 않을 수 없다. 종종 그런 회사들의 끝내주는 개발 환경이 부러움을 사곤 한다. 공짜 점심, 자유 출퇴근 제도, 공짜 커피, 편안한 사무실, 환상적인 휴게실/오락실/수영장, 선택 가.. 더보기
‘한국의 저커버그’가 양성되기 위한 조건 교육기관이나 양성기관에서 배출할 수 있는 한계는 코더 또는 프로그래머이다. 굳이 정부 주도로 한국의 빌게이츠나 저커버그를 양성하지 않아도 한국의 소프트웨어 환경이 충분히 매력적이라면 머리 좋고 도전정신이 뛰어난 인재들이 뛰어들 것이고 그 중에서 빌게이츠나 저커버그 같은 사람도 탄생할 것이다. 이글은 제가 씨넷코리아에 게재한 칼럼입니다. 새로 시작하는 씨넷코리아에 많은 관심 바랍니다. 예전에는 한국의 빌 게이츠를 키워야 한다고 하더니 요즘은 스티브 잡스를 거쳐서 마크 저커버그를 키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 주도의 한국판 저커버그 양성 프로젝트가 생기는가 하면 기업이 주도하는 시도들도 있다. 이런 시도들이 나쁜 것은 아니다. 프로그래머 인력을 키울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빌게이츠나 저커버그 같은 .. 더보기
결국 최고 걸림돌은 경영진이다. 소프트웨어 회사가 제대로 개발 역량을 갖추는데 최고의 걸림돌은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영진이다. 일반 경영자들이 소프트웨어를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CTO가 존재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회사에는 CTO가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CTO역할을 하지 않고 있다. 흔히 벌어지는 심각한 문제는 프로젝트 기간 아무때나 요구사항을 변경하고 심지어는 소프트웨어 기획의 방향을 완전히 뒤엎곤 한다. 이로 인해서 소프트웨어 개발에는 어떠한 일들이 벌어지는지 모르는 듯하다. 알파 버전이 출시된 이후에 아키텍쳐를 뒤흔들만한 기능을 추가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자동차를 개발하면서 양산 직전에 휘발유차를 디젤차로 바꾸자는 소리를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그런데 소프트웨어 회사에서는 경영진의 .. 더보기
SRS를 개발 후에 연습하는 차원으로 적어보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가장 어렵고도 중요한 것은 SRS(Software Requirements Specification) 즉, 스펙을 잘 작성하는 것이다. 그럼 SRS 작성법을 배우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남이 작성한 SRS를 보면 도움이 될까? 가상으로 한번 써보면 도움이 될까? 케이스별로 얼마나 도움이 될지 알아보자. 1% 스펙을 작성하는 방법을 배우기 위해서 남이 작성한 SRS를 보는 것은 얼마나 도움이 될까?1%정도 밖에 도움이 안된다.남이 치는 피아노, 골프를 보고 얼마나 도움이 될지 생각해보면 된다. 작성한 SRS의 내용이 그러게 도출되는 과정을 겪지 않고 결과만 보는 것은 1%밖에 보이지 않는다. 10% 그럼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기는 어려우니 가상의 프로젝트를 생각해서 작성하면.. 더보기
내가 없어도 회사가 잘 돌아가면 왠지 불안하다. 그동안 이래저래 바쁘다는 핑계로 블로그에 글을 못올리고 있다. 앞으로 짧막하게라도 글을 올리려고 한다. 내가 만약 일주일동안 회사를 안나오면 회사가 잘 돌아갈까?그럼 한달동안 안나오면 어떻게 될까?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회사는 한달동안 심지어는 일주일만 직원 몇명이 안나오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곤 한다. 이러한 종속성은 회사에게는 큰 위험이고 개발자에게는 양날의 검이다. 개발자는 본인이 없으면 회사가 잘 안돌아가는 상황을 선호하곤 한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는 개발자들이 자리를 지키기 위한 좋은 수단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개발자가 좀더 중요하고 새로운 일을 하는데 발목을 잡히곤 한다.물론 내가 없어도 회사가 쌩쌩 잘 돌아가는 상황이 매우 불안한 사람도 있을 것이다. 또한 그렇게 합리적으로 돌아가지 않는 회.. 더보기
넣는 것 보다 빼는 것이 더 어렵다. 초창기에 좋은 소프트웨어로 성공하는 업체들이 지속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고전을 면치 못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그중 하나가 제품이 점점 과도하게 비대해지는 것을 꼽을 수 있다. 성공하는 회사들의 초기 제품은 간략하고 핵심적인 기능으로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켰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 수록 경쟁상대가 많아지고 선두를 유지하거나 따라잡기 위해서 제품은 기능은 경쟁 제품들의 모든 기능을 다 포함하기 시작하곤 한다. 고객이 많아질수록 고객들의 요구사항도 다양해지고 하나의 고객도 놓치기 싫어서 가능하면 모든 요구사항을 신제품에 다 우겨 넣으려곤 하다. 이렇게 온갖 기능이 다 포함된 제품을 우리는 "Kitchen Sink"라고 한다. 설거지통에 닦아야 할 그릇들이 잔뜩 쌓여 있는 모습을 상상해보라. 기본적으로.. 더보기
[공지] 요구사항 분석 세미나를 실시합니다. - 마감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것을 하나 꼽으라면 "요구사항분석"입니다.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을 하나 꼽으라도 "요구사항분석"을 선택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요구사항분석" 역량을 제대로 갖춘 개발자를 만나보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요구사항분석"은 교과서를 통해서 배울 수 없고 실전을 통해서 익혀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자수성가한 개발자들로부터 시작되고 이어져 왔기 때문에 이를 가르쳐 줄 수가 없었습니다. 대기업에서는 대규모 방법론이나 비싼 툴을 사용하여 "요구사항분석"을 해보려고 하는데 아무리 비싼 골프채가 있어도 골프를 잘치는 것은 딴 얘기이듯이 툴이 이것을 해결해주지는 않습니다. 결국은 요구사항분석의 핵심을 꺠닫고 꾸준히 현실 프로젝트에서 경험을 쌓아가는 것이 .. 더보기
투명한 개발 문화의 효과 흔히 투명한 개발이 효율적이고 좋다고 한다. 그 진정한 의미를 알아보자. 투명한 개발이란 개발에 관련된 거의 모든 정보와 지식이 공유되는 것을 말하지만 추가로 내가 강조하고 싶은 것이 따로 있다. 거의 모든 결정의 과정 및 결과가 공개되고 기록되는 것이다. 이것의 효과는 꽤 대단한다. 이슈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모든 정보를 공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결정해야 할 이슈들을 공개하고 결정 과정이 공개되면 근거가 부족한 일방적인 주장을 하기가 어려워진다. 일방적인 주장이라고 하면 특정부서의 입장만 밀어붙이거나 윗사람이라고 해서 일방적으로 우기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영업의 입장, 회사의 비전, 개발 비용등 여러가지를 고려해야 할 결정에 영업의 입장대로만 주장하여 그렇게 결정되면 장기적으로 회사에 손해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