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 조선일보 IT관련 기사를 보다가 다음 글을 보게 되었습니다.
사실 삼성에서 개발하고 있는 바다에 관심은 있지만 큰 기대를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별 생각 없이 기사를 훑어 보고 있는데, 생각해볼 내용이 있어서 인용합니다.
| 삼성전자는 이를 통해 '하드웨어는 강하지만 소프트웨어는 약하다'는 인식을 단번에 뒤집겠다는 것이다. 삼성전자가 '바다(bada)'라는 한글 이름을 해외 시장에서도 그대로 사용한 것도 한국에서 개발한 휴대폰 플랫폼이라는 이미지를 세계인에게 각인시키기 위해서다. 홍 상무는 "바다 프로그램은 스마트폰뿐 아니라 일반 휴대폰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게 차별화 요소"라면서 "(바다는) 전 세계 개발자들이 만든 수많은 응용프로그램이 거래되는 장터라는 의미도 있다"고 말했다. 조선일보기사에서 인용 |
'하드웨어는 강하지만 소프트웨어는 약하다'는 인식을 단번에 뒤집겠다"
이 의미는 원래 소프트웨어가 강한데 인식만 안 좋은 것이고 바다를 기똥차게 만들어서 인식을 바꾸겠다는 걸까요?
아니면 원래 소프트웨어가 약한데 이번에 바다를 개발하면서 갑자기 소프트웨어를 잘 만드는 조직으로 탈바꿈하겠다는 걸까요?
사실 둘다 말이 안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일단 삼성도 소프트웨어는 약하다고 스스로 인정하는 것 같고, 그 동안의 경험을 토대로 판단해보면 절대로 소프트웨어를 잘 만드는 조직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첫번째는 무시하죠.
비록 소프트웨어는 잘 못 만들지만, 소니, 모토롤라가 따라 올 수 없는 큰 강점들이 많아서 지금은 성공을 이루었기 때문에 삼정 자체를 평가할 생각은 없습니다. 단지 소프트웨어 얘기를 좀 해보죠.
왜 소프트웨어를 잘 못 만들까요? 사실 외형적인 것만 보면 부족할 것이 없어 보입니다. 조직, 프로세스 모두 갖추고 있고(오히려 과도하기도 합니다.), 개발툴이나 시스템은 세계 최고의 것들을 쓰고 있고, 똑똑한 개발자들이 바글바글(반대하는 사람도 많을 것 같네요.) 합니다.
마치 "아이폰"과 "옴니아2"를 스펙만 놓고 보면 큰 차이가 없지만 막상 둘을 나란히 놓고 써보면 느낌이 확 다른 것과 비슷하다고 할까요?
겉보기에는 비슷하게 흉내를 내고 있지만, 속을 까보면 조금씩 다릅니다. 그 작은 차이들이 모여서 이렇게 되었다고 볼 수 있죠. 결국의 개발문화의 차이로 나타납니다. 실제 제 컨설팅 경험에 의하면 그런 환경에서 그런 방법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도 지금까지 살아 있는 것에 감탄을 하면서도 그 속의 개발자들을 안타깝게 생각한 적이 있었습니다. '좋은 환경과 제대로된 조직에서 개발을 해왔으면 훨씬 잘 되었을 개발자들인데'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결국 그 원인은 경영층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무지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드웨어 분야는 몇 십년간 정말 많은 투자를 해온 것에 비해서 소프트웨어는 그렇지 못합니다. 하드웨어적인 마인드로 소프트웨어 조직을 키울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됩니다. 소프트웨어 조직은 소프트웨어를 철저히 이해하고 있는 경영자가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경영자가 힘을 가지고 10년 이상은 노력해야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회사들과 어깨를 조금 나란히 할까 말까 합니다. 그렇게 할 수 있을 까요?
힘이 있고 소프트웨어를 정말 잘 이해하는 경영자가 있어야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꾸준히 성장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줄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이란 철저히 사람이 하는 일이라서 뛰어난 개발자들을 10년 이상 키워내야 합니다. 그냥 연수만 10년을 채운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형식적으로만 갖춰진 조직이 아닌 정말 소프트웨어 개발조직다운 환경에서 제대로 된 개발문화 속에서 꾸준히 키워져야 "이제 소프트웨어 개발 좀 하겠구나~"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조직 다운 환경과 개발문화가 구체적으로 무엇이냐고요? 짧은 글에서 다 설명하기는 정말 어렵습니다. 우리 전통문화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그게 뭔지 글로 설명하는 것이라고 해야 할까요?
궁금하다면 제 블로그 자체가 지속적으로 얘기하는 내용이므로 다른 글들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제 블로그를 구독하고 계신 분들은 나름대로 이해를 하고 계실 겁니다.
안타까운 것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갭이 상상이상으로 크고 삼성같은 큰 조직은 바뀌는 것이 훨씬 어렵다는 것입니다. 내부에 변화를 싫어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삼성은 이미 이전에 몇번의 변화를 통해서 지금에 이르렀기 때문에 약간의 희망을 가져봅니다.
* 이 포스트는 blogkorea [블코채널 : 꿈꾸는 소프트웨어 개발자 세상] 에 링크 되어있습니다.
image by www.bada.com